- SSL 위에서 https 동작
- SSL과 TLS는 같은 말이다.
- 하지만 TLS라는 이름보다 SSL이라는 이름이 훨씬 많이 사용되고 있다.
SSL 동작방법
-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서버가 제공한 공개키로 암호화해서 데이터 전송, 서버는 데이터를 받아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개인키로 복호화 하면 됨
- 공개키 방식은 암호화하고 복호화하는 방식에서 컴퓨팅파워를 많이사용하여 성능상 많은 단점이 있음
- 결론적으로 두가지 방식을 혼합하여 사용 (공개키 + 대칭키)
- 실제 데이터 : 대칭키
- 대칭키의 키 : 공개키
- 컴퓨터과 컴퓨터가 네트워크를 이용해서 통신을 할 때는 내부적으로 3가지 단계가 있다.
- 악수 -> 전송 -> 세션 종료
1. 악수(handshake)
사람과 사람이 소통을 할 때를 생각해보자. 인사를 통해 상대의 기분과 상황을 상호 탐색하는 것이다.
이 과정이 잘되어야 소통이 원활해진다.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도 마찬가지이다.
실제 데이터를 주고받기 전에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일종의 인사인 handshake를 한다. 이 과정을 통해서 서로 상대방이 존재하는지, 또 상대방과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서 어떤 방법을 사용해야하는지를 파악한다.
SSL 방식을 이용해서 통신을 하는 브라우저와 서버 역시 핸드쉐이크를 하는데, 이때 SSL 인증서를 주고 받는다.
인증서에 포함된 서버 측 공개키의 역할
- 공개키는 이상적인 통신 방법이다.
- 암호화와 복호화를 할 때 사용하는 키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메시지를 전송하는 쪽이 공개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수신 받는 쪽이 비공개키로 데이터를 복호화하면 되기 때문이다.
- 하지만 SSL에서는 이 방식을 사용하지 않는다.
- SSL은 공개키와 대칭키의 장점을 혼합한 방법을 사용한다.
핸드쉐이크 단계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통신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살펴보자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한다. (이 단계를 Client Hello라고 한다.) 이 단계에서 주고 받는 정보는 아래와 같다.
- 클라이언트 측에서 생성한 랜덤 데이터 : 아래 3번 과정 참조
- 클라이언트가 지원하는 암호화 방식들 :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지원하는 암호화 방식이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상호간에 어떤 암호화 방식을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협상을 해야 한다. 이 협상을 위해서 클라이언트 측에서는 자신이 사용할 수 있는 암호화 방식을 전송한다.
- 세션 아이디 : 이미 SSL 핸드쉐이킹을 했다면 비용과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서 기존의 세션을 재활용하게 되는데 이 때 사용할 연결에 대한 식별자를 서버 측으로 전송한다.
- 서버는 Client Hello에 대한 응답으로 Server Hello를 하게 된다. 이 단계에서 주고 받는 정보는 아래와 같다.
- 서버 측에서 생성한 랜덤 데이터 : 아래 3번 과정 참조
- 서버가 선택한 클라이언트의 암호화 방식 : 클라이언트가 전달한 암호화 방식 중에서 서버 쪽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암호화 방식을 선택해서 클라이언트로 전달한다. 이로써 암호화 방식에 대한 협상이 종료되고 서버와 클라이언트는 이 암호화 방식을 이용해서 정보를 교환하게 된다.
- 인증서
- 클라이언트는 서버의 인증서가 CA에 의해서 발급된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클라리언트에 내장된 CA 리스트를 확인한다.
- CA리스트에 인증서가 없다면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다.
- 인증서가 CA에 의해서 발급된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클라이언트에 내장된 CA의 공개키를 이용해서 인증서를 복호화한다.
- 복호화에 성공했다면 인증서는 CA의 개인키로 암호화된 문서임이 암시적으로 보증된 것이다. 인증서를 전송한 서버를 믿을 수 있게 된 것이다.
- 클라리언트는 상기 1번을 통해서 받은 서버의 랜덤 데이터와 클라이언트가 생성한 랜덤 데이터를 조합해서 pre master secret라는 키를 생성한다. 이 키는 뒤에서 살펴볼 세션 단계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암호화하기 위해서 사용될 것이다. 이 때 사용할 암호화 기법은 대칭키이기 때문에 pre mater secret 값은 제 3자에게 절대로 노출되어서는 안된다.
- 그럼 문제는 이 pre mater secret 값을 어떻게 서버에게 전달할 것인가이다.
- 이때 사용하는 방법이 바로 공개키 방식이다. 서버의 공개키로 pre master secret 값을 함호화해서 서버로 전송하면 서버는 자신의 비공개키로 안전하게 복호화 할 수 있다. 그럼 서버의 공개키는 어떻게 구할 수 있을까? 서버로 부터 받은 인증서 안에 들어있다.
- 이 서버의 공개키를 이용해서 pre master secret 값을 암호화한 후에 서버로 전송하면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다.
-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전송한 pre master secret 값을 자신의 비공개키로 복호화한다.
- 이로서 서버와 클라이언트 모두가 pre master secret 값을 공유하게 되었다.
- 서버와 클라이언트 모두 일련의 과정을 거쳐서 pre master secret 값을 master secret 값으로 만든다.
- master secret는 session key를 생성하는데 이 session key값을 이용해서 서버와 클라이언트는 데이터를 대칭키 방식으로 암호화 한 후에 주고 받는다.
- 이렇게해서 세션키를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모두 공유하게 되었다는 점을 기억하자.
-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핸드쉐이크 단계의 종료를 서로에게 알린다.
2. 세션
세션은 실제로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데이터를 주고 받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핵심은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송하기 전에 session key 값을 이용해서 대칭키 방식으로 암호화 한다는 점이다.
암호화된 정보는 상대방에게 전송 될 것이고, 상대방도 세션키 값을 알고 있기 때문에 암호를 복호화 할 수 있다.
3. 세션 종료
데이터의 전송이 끝나면 SSL 통신이 끝났음을 서로에게 알려준다.
이 때 통신에서 사용한 대칭키인 세션키를 폐기한다.
'컴퓨터 기본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DHCP 란 (0) | 2021.09.11 |
---|---|
PXE 네트워크 부팅 (0) | 2021.09.11 |
공개키(Public Key)와 개인키(Private Key) (0) | 2021.09.05 |
[융복합 프로젝트] IOT / 빅데이터 / AI 기본 개념 (0) | 2021.01.05 |
자바스크립트 기본 개념 & Auth0 & 교차기원 & CORS (0) | 2020.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