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ppyso
study with happyso
happyso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302)
    • GIT (3)
    • 컴퓨터 기본 개념 (29)
    • 알고리즘 (125)
      • 알고리즘 문제 (115)
      • 알고리즘 개념 (10)
    • Go (2)
    • 클라우드 (54)
      • DevOps (4)
      • Kubernetes(쿠버네티스) (33)
      • AWS (6)
      • CKA (8)
    • 리눅스(Linux) (18)
      • 컨테이너(Container) (8)
    • Front (22)
      • JavaScript (2)
      • React (20)
    • Python (21)
      • Python 웹 크롤링 (11)
      • Django (7)
      • MachineLearning (3)
    • 데이터베이스 (6)
      • MariaDB (2)
      • MongoDB (4)
    • C언어 (5)
    • Trouble Shooting (2)
    • 네트워크 (8)
      • CCNA (5)
    • 보안 (1)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edit
  • apply
  • 18
  • kubernetes
  • replace
  • Patch
  • 15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happyso

study with happyso

[python] 프로그래머스 > 탐욕법 > 단속카메라
알고리즘/알고리즘 문제

[python] 프로그래머스 > 탐욕법 > 단속카메라

2020. 8. 24. 01:06

<문제>

- 문제 설명

고속도로를 이동하는 모든 차량이 고속도로를 이용하면서 단속용 카메라를 한 번은 만나도록 카메라를 설치하려고 합니다.

고속도로를 이동하는 차량의 경로 rout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모든 차량이 한 번은 단속용 카메라를 만나도록 하려면 최소 몇 대의 카메라를 설치해야 하는지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

 

- 제한사항

  • 차량의 대수는 1대 이상 10,000대 이하입니다.
  • routes에는 차량의 이동 경로가 포함되어 있으며 routes[i][0]에는 i번째 차량이 고속도로에 진입한 지점, routes[i][1]에는 i번째 차량이 고속도로에서 나간 지점이 적혀 있습니다.
  • 차량의 진입/진출 지점에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어도 카메라를 만난것으로 간주합니다.
  • 차량의 진입 지점, 진출 지점은 -30,000 이상 30,000 이하입니다.

입출력 예

routes return
[[-20,15], [-14,-5], [-18,-13], [-5,-3]] 2

 

입출력 예 설명

-5 지점에 카메라를 설치하면 두 번째, 네 번째 차량이 카메라를 만납니다.

-15 지점에 카메라를 설치하면 첫 번째, 세 번째 차량이 카메라를 만납니다.

 

 

<내가 푼 방법>

def solution(routes):
    # 결국에 교집합 갯수 구하는 문제
    # 앞자리 기준으로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
    routes.sort(key=lambda x:x[0])
    # 무조건 1개는 들어갈 수 밖에 없으니 1개부터 시작한다.
    answer = 1 
    endpoint = routes[0][1]
    routes.pop(0)
    for route in routes:
        if route[0] <= endpoint:
            endpoint = min(route[1], endpoint)
        else:
            answer += 1
    return answer

이미 최초에 존재하는 answer의 갯수 1개는 새로운 교집합이 나타날 경우 +1 된다.

앞자리를 기준으로 정렬한 후,

첫번째 순서의 뒷자리 수가 다음 순서의 앞자리 보다 크면 교집합이 존재한다고 받아들인다.

그리고 첫번째 순서의 뒷자리 수와 두번째 순서의 뒷자리 수 중 더 작은것을 선택해 다시 뒷자리수의 기준점으로 삼는다. 이런 방식을 반복하며 기준점의 뒷자리 수보다 다음 순서의 첫번째 수가 클 때 현존하는 교집합을 벗어났다는 의미이므로 +1을 해준다.

 

실행결과에서는 통과되지만 효율성에서 탈락한다.

 

이유가 왜인지는 아직 잘 모르겠다.

 

def solution(routes):
    # 결국에 교집합 갯수 구하는 문제
    # 일단 앞자리 기준으로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
    routes.sort(key=lambda x:x[0])
    answer = 1
    endpoint = routes[0][1]
    routes.pop(0)
    for route in routes:
        if route[0] <= endpoint:
            endpoint = min(route[1], endpoint)
        else:
            endpoint = route[1]
            answer += 1
    return answer

else에 기준값을 다시 초기화해주지 않아서 발생한 문제였다.

endpoind값을 주니 실행된다.

 

<다른사람이 푼 방법>

효율성에서 탈락하지 않는 코드이다.

앞자리를 기준으로 정렬하지 않고 뒷자리를 기준으로 정렬하여 풀었다.

확실히 훨씬 간단하다.

 

'알고리즘 > 알고리즘 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프로그래머스 > DFS/BFS > 단어변환  (1) 2020.08.31
[python] 프로그래머스 > 124 나라의 숫자  (0) 2020.08.27
[python] 프로그래머스 > 깊이/너비 우선 탐색(DFS/BFS) > 타겟 넘버  (0) 2020.08.23
[python] 프로그래머스 > level1 > 같은 숫자는 싫어!  (0) 2020.08.22
[python] 프로그래머스 > 스택/큐 > 주식가격  (0) 2020.08.19
    '알고리즘/알고리즘 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python] 프로그래머스 > DFS/BFS > 단어변환
    • [python] 프로그래머스 > 124 나라의 숫자
    • [python] 프로그래머스 > 깊이/너비 우선 탐색(DFS/BFS) > 타겟 넘버
    • [python] 프로그래머스 > level1 > 같은 숫자는 싫어!
    happyso
    happyso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