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알고스팟 운영진이 모두 미로에 갇혔다. 미로는 N*M 크기이며, 총 1*1크기의 방으로 이루어져 있다. 미로는 빈 방 또는 벽으로 이루어져 있고, 빈 방은 자유롭게 다닐 수 있지만, 벽은 부수지 않으면 이동할 수 없다.
알고스팟 운영진은 여러명이지만, 항상 모두 같은 방에 있어야 한다. 즉, 여러 명이 다른 방에 있을 수는 없다. 어떤 방에서 이동할 수 있는 방은 상하좌우로 인접한 빈 방이다. 즉, 현재 운영진이 (x, y)에 있을 때, 이동할 수 있는 방은 (x+1, y), (x, y+1), (x-1, y), (x, y-1) 이다. 단, 미로의 밖으로 이동 할 수는 없다.
벽은 평소에는 이동할 수 없지만, 알고스팟의 무기 AOJ를 이용해 벽을 부수어 버릴 수 있다. 벽을 부수면, 빈 방과 동일한 방으로 변한다.
만약 이 문제가 알고스팟에 있다면, 운영진들은 궁극의 무기 sudo를 이용해 벽을 한 번에 다 없애버릴 수 있지만, 안타깝게도 이 문제는 Baekjoon Online Judge에 수록되어 있기 때문에, sudo를 사용할 수 없다.
현재 (1, 1)에 있는 알고스팟 운영진이 (N, M)으로 이동하려면 벽을 최소 몇 개 부수어야 하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미로의 크기를 나타내는 가로 크기 M, 세로 크기 N (1 ≤ N, M ≤ 100)이 주어진다. 다음 N개의 줄에는 미로의 상태를 나타내는 숫자 0과 1이 주어진다. 0은 빈 방을 의미하고, 1은 벽을 의미한다.
(1, 1)과 (N, M)은 항상 뚫려있다.
출력
첫째 줄에 알고스팟 운영진이 (N, M)으로 이동하기 위해 벽을 최소 몇 개 부수어야 하는지 출력한다.
[나의 풀이 - 다익스트라]
import heapq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def dijkstra(start, end):
heap = []
distance = [[sys.maxsize]*(M) for _ in range(N)]
sx, sy = start
ex, ey = end
heapq.heappush(heap, (0, sx, sy))
distance[sx][sy] = 0
while heap:
weight, hsx, hsy = heapq.heappop(heap)
for i in range(4):
hx, hy = hsx+dx[i], hsy+dy[i]
if not(0<=hy<M and 0<=hx<N):
continue
if distance[hx][hy] > weight+arr[hx][hy]:
distance[hx][hy] = weight+arr[hx][hy]
heapq.heappush(heap, (weight+arr[hx][hy], hx, hy))
return distance[ex][ey]
if __name__ == '__main__':
M, N = map(int, input().split())
arr = [list(map(int, input().rstrip())) for _ in range(N)]
dx, dy = [-1, 1, 0, 0], [0, 0, -1, 1]
print(dijkstra((0, 0), (N-1, M-1)))
- 1차원 다익스트라만 풀다가 처음으로 2차원 배열 다익스트라를 접해서 당황했다.
- distance에 2차원 배열의 수만큼 무한대로 초기화를 해논다.
- 다익스트라 함수에 시작노드위치, 끝노드위치를 넣어준다.
- 힙큐에 비용(weight), 시작 노드위치를 넣어준다.
- 현재 노드 기준으로 위, 아래, 양옆 노드들로 뻗어나가면서 값을 비교하고 다시 heap에 넣어주고를 반복한다.
[다른 사람의 풀이 - BFS]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n, m = map(int, sys.stdin.readline().split())
a = []
for i in range(m):
a.append(sys.stdin.readline())
dist = [[-1]*n for _ in range(m)]
dist[0][0] = 0
q = deque()
dx = [1,-1,0,0]
dy = [0,0,1,-1]
q.append([0, 0])
while q:
x, y = q.popleft()
for i in range(4):
nx, ny = x+dx[i], y+dy[i]
if nx>=0 and nx<m and ny >=0 and ny<n:
if dist[nx][ny] == -1:
if a[nx][ny] == '0':
q.appendleft([nx, ny])
dist[nx][ny] = dist[x][y]
elif a[nx][ny] == '1':
q.append([nx, ny])
dist[nx][ny] = dist[x][y]+1
print(dist[m-1][n-1])
from heapq import heappush, heappop
m, n = map(int, input().split())
dx = [1, -1, 0, 0]
dy = [0, 0, -1, 1]
s = []
visit = [[0] * m for i in range(n)]
for i in range(n):
s.append(list(map(int, input())))
def bfs():
heap = []
heappush(heap, [0, 0, 0])
visit[0][0] = 1
while heap:
c, a, b = heappop(heap)
if a == n - 1 and b == m - 1:
print(c)
return
for i in range(4):
x = a + dx[i]
y = b + dy[i]
if 0 <= x < n and 0 <= y < m and visit[x][y] == 0:
heappush(heap, [c + 1 if s[x][y] == 1 else c, x, y])
visit[x][y] = 1
bfs()
[다른 사람의 풀이 - 다익스트라]
from heapq import heappush, heappop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INF = sys.maxsize
dx = [1, -1, 0, 0]
dy = [0, 0, 1, -1]
def dij():
heappush(q, [0, 0, 0])
d[0][0] = 1
while q:
w, x, y = heappop(q)
if x == m-1 and y == n-1:
print(w)
return
for i in range(4):
nx = x + dx[i]
ny = y + dy[i]
if 0 <= nx < m and 0 <= ny < n:
nw = w + a[nx][ny]
if nw < d[nx][ny]:
d[nx][ny] = nw
heappush(q, [nw, nx, ny])
n, m = map(int, input().split())
a = [list(map(int, input().strip())) for _ in range(m)]
d = [[INF]*n for _ in range(m)]
q = []
dij()
'알고리즘 > 알고리즘 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백준 > 시뮬레이션, 구현 > 로봇 청소기(14503) (0) | 2021.02.17 |
---|---|
[python] 백준 > 부루트포스 > 체스판 다시 칠하기(1018) (0) | 2021.02.16 |
[python] 백준 > DFS > 구슬찾기(2617) (0) | 2021.02.15 |
[python] 백준 > DFS/BFS > 음식물 피하기(1743) (0) | 2021.02.12 |
[python] 백준 > BFS > Puyo Puyo(11559) (0) | 2021.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