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CKA] mock exam 02
문제1 Take a backup of the etcd cluster and save it to /opt/etcd-backup.db. [나의 풀이] etcdctl --help #etcdctl이 설치되어있지 않다면 설치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etcd-client # 환경변수 설정 export ETCDCTL_API=3 # etcd 백업 진행 etcdctl --cacert=옵션값 \ --cert=옵션값 \ --key=옵션값 \ snapshot save 백업파일경로 및 파일명 # 3가지 옵션값 위치 찾는 법 ps -aux | grep -i etcd etcdctl --cacert=/etc/kubernetes/pli/etcd/ca.cert \ --cert=/etc/kubernet..
[CKA] mock exam 01
[문제] Create a service messaging-service to expose the messaging application within the cluster on port 6379. Use imperative commands. Service: messaging-service Port: 6379 Type: ClusterIp Use the right labels [나의 풀이] root@controlplane:~# kubectl create service clusterip messaging-service --tcp=6379 service/messaging-service created [정답] kubectl expose pod messaging --port=6379 --name messaging-s..

[React] Form Validation (Formik VS React Hook Form)
Validation 이란? 서버에 데이터를 제출하기 전에 양식이 올바른지 확인하는 과정 사용자가 데이터를 목적지로 보내기 전에, 올바를 데이터를 입력했는지 유효성을 체크해주는 것. Client Validation react form validation은 client validation check에 해당 1.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함 클라이언트 측에서 유효성 체크를 하지 않을 경우, 데이터가 서버까지 다녀온 뒤에야 잘못된 데이터임을 알 수 있다. 시간이 오래걸려 사용자도 불편함을 겪고, 서버도 너무 많이 일을 혼자 하게된다. 2. 이상한 데이터가 들어와 공격당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한 보안조치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이상한 데이터를 넣어 공격을 하는 것을 맊을 수 있다. 하지만 클라이언트 유효성 체..

[network] dns
/etc/resolv.conf 해당 호스트에서 인터넷상의 도메인을 찾아갈 때 도메인 주소로 질의하면 IP로 변환해주는 dns 서버를 지정해주는 설정 파일 먼저 /etc/hosts 에서 해당 도메인의 ip를 확인하고 없는 경우 resolv.conf에 지정된 dns 서버에 도메인 네임을 물어본다. DNS record DNS에 받은 요청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 DNS record type 1) A IP 주소와 도메인 주소를 매핑할 때 사용하는 에코드로써 하나의 도메인에 여러 개의 IP 주소를 등록할 수 있다. 예를들면 naver.com의 A레코드를 조회하였을 때 125.209.222.141, 125.209.222.142, 223.130.195.200, 233.130.195.95의 IP주소가 매핑되..

[network] switching routing
routing 한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패킷을 이동시키는 과정과 네트워크 안의 호스트에게 패킷들을 전달하는 과정 경로 설정 : 데이터 패킷이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 갈 수 있는 경로를 검사하고 어떤 경로로 가는 것이 최선인지 결정 스위칭 : 경로 설정이 결정될 경우 데이터 패킷 스위칭 작업을 함 routing table 패킷이 목적지, 목적지까지의 거리와 가는 방법 등을 명시하고 있는 테이블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며 라우터기기의 손상이나 새로운 경로 생성이나 제거에 따라 변화함 $ route 명령어로 확인 가능 destination : 목적지 gateway :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주소 genmast : 목적지 네트워크의 넷마스크 주소. 255.255.255.255로 ..

[kubernetes] 쿠버네티스 아키텍처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전체 구조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는 크게 두 종류의 서버로 구성한다. 1. 클러스터를 관리하는 마스터 etcd, kube-apiserver, kube-scheduler, kube-controller-manager, kubelet, kube-proxy, docker 등의 컨테이너가 실행된다. 2. 실제 컨테이너를 실행시키는 노드 kubelet, kube-proxy, docker 마스터는 보통 고가용성을 만족하고자 서버 3대 정도 구성해서 운영한다. 평소 실제 클러스터를 관리하는 마스터는 1대고 나머지 2대는 대기한다. 리더 마스터에 장애가 발생하면 자연스럽게 나머지 2대 중 1대가 리더 역할을 맡는다. 실제 사용하는 컨테이너 대부분은 노드에서 실행된다. 각 컴포넌트의 중심에 kube-ap..

DHCP 란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의 약자 DHCP란 호스트의 IP 주소와 각종 TCP/IP 프로토콜의 기본 설정을 클라이언트에게 자동적으로 제공해주는 프로토콜 DHCP는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IP 주소를 DHCP 서버가 중앙집중식으로 관리하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사용하게 된다. DHCP지원 클라이언트는 네트워크 부팅과정에서 DHCP 서버에 IP주소를 요청하고 이를 얻을 수 있다. 네트워크 안에 컴퓨터에 자동으로 네임서버주소, IP주소, 게이트웨이 주소를 할당해주는 것을 의미하고, 해당 클라이언트에게 일정 기간 임대를 하는 동적 주소 할당 프로토콜이다. DHCP 장점 PC의 수가 많거나 PC 자체 변동사항이 많은 경우 IP 설정이 자동으로 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하..

PXE 네트워크 부팅
PXE(Preboot Execution Environment)란 운영체제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원격지의 컴퓨터를 네트워크 도메인에 참가시키는 것만으로도 부팅을 시킬 수 있는 환경을 말한다. 요즘에 출시되는 대부분의 메인보드들은 PXE를 지원한다. BIOS 설정에서 찾아보면 PXE라든지 Network on boot room과 같은 옵션들이 보이는 보드들은 PXE를 지원하는 보드들이다. 이 기능을 활성화 한 다음 부트 오더에 가장 첫 번째에 LAN을 두면 활성화 된다. 보드별로 설정하는 방법이 상이할 수 있으니 보드 메뉴얼을 참조하여 PXE를 활성화 하도록 한다. PXE의 기본 동작을 보면 위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있다. 기본적으로 클라이언트이기 때문에 서버가 필요하다. 서버에는 DHCP 서버와 tftp 서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