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알고리즘 문제

[python] 백준 > 그리디 > 단어 수학(1339)
[문제] 민식이는 수학학원에서 단어 수학 문제를 푸는 숙제를 받았다. 단어 수학 문제는 N개의 단어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단어는 알파벳 대문자로만 이루어져 있다. 이때, 각 알파벳 대문자를 0부터 9까지의 숫자 중 하나로 바꿔서 N개의 수를 합하는 문제이다. 같은 알파벳은 같은 숫자로 바꿔야 하며, 두 개 이상의 알파벳이 같은 숫자로 바뀌어지면 안 된다. 예를 들어, GCF + ACDEB를 계산한다고 할 때, A = 9, B = 4, C = 8, D = 6, E = 5, F = 3, G = 7로 결정한다면, 두 수의 합은 99437이 되어서 최대가 될 것이다. N개의 단어가 주어졌을 때, 그 수의 합을 최대로 만드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www.acmicpc.net/problem/1339 1339번:..

[python] 백준 > 이분 탐색 > 수 찾기(1920)
[문제] N개의 정수 A[1], A[2], …, A[N]이 주어져 있을 때, 이 안에 X라는 정수가 존재하는지 알아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나의 풀이]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AN = list(map(int, input().split())) M = int(input()) MN = list(map(int, input().split())) AN = sorted(AN) for val in MN: start = 0 answer = 0 end = len(AN)-1 while start AN[mid]: start = mid + 1 if val == AN[mid]: answer = 1 break print(answer) 정렬을 하여 이분..

[python] 백준 > 이분 탐색 > 랜선 자르기(1654)
[문제] 집에서 시간을 보내던 오영식은 박성원의 부름을 받고 급히 달려왔다. 박성원이 캠프 때 쓸 N개의 랜선을 만들어야 하는데 너무 바빠서 영식이에게 도움을 청했다. 이미 오영식은 자체적으로 K개의 랜선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K개의 랜선은 길이가 제각각이다. 박성원은 랜선을 모두 N개의 같은 길이의 랜선으로 만들고 싶었기 때문에 K개의 랜선을 잘라서 만들어야 한다. 예를 들어 300cm 짜리 랜선에서 140cm 짜리 랜선을 두 개 잘라내면 20cm는 버려야 한다. (이미 자른 랜선은 붙일 수 없다.) 편의를 위해 랜선을 자르거나 만들 때 손실되는 길이는 없다고 가정하며, 기존의 K개의 랜선으로 N개의 랜선을 만들 수 없는 경우는 없다고 가정하자. 그리고 자를 때는 항상 센티미터 단위로 정수길이만큼 자..

[python] 백준 > 다익스트라 > 최단 거리(1753)
[문제] 방향그래프가 주어지면 주어진 시작점에서 다른 모든 정점으로의 최단 경로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단, 모든 간선의 가중치는 10 이하의 자연수이다. www.acmicpc.net/problem/1753 1753번: 최단경로 첫째 줄에 정점의 개수 V와 간선의 개수 E가 주어진다. (1≤V≤20,000, 1≤E≤300,000) 모든 정점에는 1부터 V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다고 가정한다. 둘째 줄에는 시작 정점의 번호 K(1≤K≤V)가 주어진다. www.acmicpc.net [나의 풀이 - 실패버전] import sys import heapq input = sys.stdin.readline V, E = map(int, input().split()) start_node = int(input())..

[python] 백준 > bfs > 아기상어(16236)
[문제] N×N 크기의 공간에 물고기 M마리와 아기 상어 1마리가 있다. 공간은 1×1 크기의 정사각형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 한 칸에는 물고기가 최대 1마리 존재한다. 아기 상어와 물고기는 모두 크기를 가지고 있고, 이 크기는 자연수이다. 가장 처음에 아기 상어의 크기는 2이고, 아기 상어는 1초에 상하좌우로 인접한 한 칸씩 이동한다. 아기 상어는 자신의 크기보다 큰 물고기가 있는 칸은 지나갈 수 없고, 나머지 칸은 모두 지나갈 수 있다. 아기 상어는 자신의 크기보다 작은 물고기만 먹을 수 있다. 따라서, 크기가 같은 물고기는 먹을 수 없지만, 그 물고기가 있는 칸은 지나갈 수 있다. 아기 상어가 어디로 이동할지 결정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더 이상 먹을 수 있는 물고기가 공간에 없다면 아기 상어는 ..

[python] 백준15686 > 부루트포스 > 치킨 배달
[문제] 크기가 N×N인 도시가 있다. 도시는 1×1크기의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 도시의 각 칸은 빈 칸, 치킨집, 집 중 하나이다. 도시의 칸은 (r, c)와 같은 형태로 나타내고, r행 c열 또는 위에서부터 r번째 칸, 왼쪽에서부터 c번째 칸을 의미한다. r과 c는 1부터 시작한다. 이 도시에 사는 사람들은 치킨을 매우 좋아한다. 따라서, 사람들은 "치킨 거리"라는 말을 주로 사용한다. 치킨 거리는 집과 가장 가까운 치킨집 사이의 거리이다. 즉, 치킨 거리는 집을 기준으로 정해지며, 각각의 집은 치킨 거리를 가지고 있다. 도시의 치킨 거리는 모든 집의 치킨 거리의 합이다. 임의의 두 칸 (r1, c1)과 (r2, c2) 사이의 거리는 |r1-r2| + |c1-c2|로 구한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python] 백준 > 부루트포스 > 백설 공주와 일곱 난쟁이
[문제] 매일 매일 일곱 난쟁이는 광산으로 일을 하러 간다. 난쟁이가 일을 하는 동안 백설공주는 그들을 위해 저녁 식사를 준비한다. 백설공주는 의자 일곱개, 접시 일곱개, 나이프 일곱개를 준비한다. 어느 날 광산에서 아홉 난쟁이가 돌아왔다. (왜 그리고 어떻게 아홉 난쟁이가 돌아왔는지는 아무도 모른다) 아홉 난쟁이는 각각 자신이 백설공주의 일곱 난쟁이라고 우기고 있다. 백설공주는 이런 일이 생길 것을 대비해서, 난쟁이가 쓰고 다니는 모자에 100보다 작은 양의 정수를 적어 놓았다. 사실 백설 공주는 공주가 되기 전에 매우 유명한 수학자였다. 따라서, 일곱 난쟁이의 모자에 쓰여 있는 숫자의 합이 100이 되도록 적어 놓았다. 아홉 난쟁이의 모자에 쓰여 있는 수가 주어졌을 때, 일곱 난쟁이를 찾는 프로그램을..

[python] 백준 > BFS/DFS > 빙산
[문제] 지구 온난화로 인하여 북극의 빙산이 녹고 있다. 빙산을 그림 1과 같이 2차원 배열에 표시한다고 하자. 빙산의 각 부분별 높이 정보는 배열의 각 칸에 양의 정수로 저장된다. 빙산 이외의 바다에 해당되는 칸에는 0이 저장된다. 그림 1에서 빈칸은 모두 0으로 채워져 있다고 생각한다. 그림 1. 행의 개수가 5이고 열의 개수가 7인 2차원 배열에 저장된 빙산의 높이 정보 빙산의 높이는 바닷물에 많이 접해있는 부분에서 더 빨리 줄어들기 때문에, 배열에서 빙산의 각 부분에 해당되는 칸에 있는 높이는 일년마다 그 칸에 동서남북 네 방향으로 붙어있는 0이 저장된 칸의 개수만큼 줄어든다. 단, 각 칸에 저장된 높이는 0보다 더 줄어들지 않는다. 바닷물은 호수처럼 빙산에 둘러싸여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그림..